-
목차
전북형 기초생활보장사업이란?
전북형 기초생활보장사업은 국가의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에서 탈락한 비수급 빈곤계층을 위한 전라북도 지자체 자체 복지사업입니다.
특히 **중위소득 50% 이하이지만 재산이나 가족 조건 등으로 인해 기존 복지 혜택을 받지 못하던 이들을 위한 '보완적 안전망'**입니다.1-1. 왜 등장했는가? 제도의 배경
현행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은 소득 외에도 다양한 기준(재산, 부양의무자 등)으로 수급자 자격을 제한합니다.
이로 인해 다음과 같은 사각지대가 발생하게 됩니다.- 실질적으로 생계가 어려우나 재산 기준에서 탈락
- 부양의무자가 있지만 실질적 지원이 전무한 경우
- 제도에서 누락된 신중년 1인가구, 장애인 가족 부양 가정 등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전북특별자치도는 지자체 주도형 맞춤형 복지 정책으로 이 제도를 시행하게 되었습니다.
1-2. 대상자 및 선정 기준
✅ 거주 요건: 신청일 기준 전북특별자치도 내 1개월 이상 거주자
✅ 소득 기준: 가구 소득 평가액이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 재산 기준:- 일반재산: 1억 5,500만 원 이하
- 금융재산: 3,400만 원 이하
✅ 부양의무자 기준: 기본 폐지 - 단, 연소득 1.3억 이상 고소득 부양의무자는 제외
중요 포인트는 기존 기초생활보장제도보다 선정 기준이 완화되어 보다 폭넓은 지원이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지원 내용 및 혜택 정리
전북형 기초생활보장사업은 단순한 금전 지원을 넘어서 실질적 생계지원을 통해 빈곤 탈출의 발판을 마련해줍니다.
(1) 생계급여
생계급여는 소득 구간에 따라 차등 지급되며, 다음과 같이 구성됩니다.
가구원수중위소득 40% 이하중위소득 40~50% 이하1인 344,450원 172,230원 2인 566,310원 283,160원 3인 723,650원 361,830원 4인 878,080원 439,040원 5인 1,023,580원 511,790원 ✅ 중위소득 40% 이하 가구: 전액 지원
✅ 중위소득 40% 초과~50% 이하 가구: 절반 지원(2) 해산·장제급여
- 해산급여: 1인당 70만 원 (쌍둥이 140만 원)
- 장제급여: 1인당 80만 원
이 지원은 갑작스러운 생계 위기에 빠진 가정을 위한 긴급복지의 역할도 함께 수행합니다.
신청 절차 및 방법
신청 창구는 해당 주민이 거주하는 읍·면 행정복지센터입니다.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 신청 접수: 읍·면 복지센터의 맞춤형복지팀
- 조사: 주민복지과 통합보장팀에서 자산, 소득, 부양의무 등 종합조사
- 결정 및 통보: 자격 적합 시 보장 결정 및 급여 시작
필요 서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 신청서
- 주민등록등본
- 건강보험 납부확인서
- 재산세 과세증명서
- 금융재산 확인서류
실무자가 알려주는 팁
- 소득 외 재산 기준도 꼼꼼히 확인: 자동차, 보험, 청약저축은 어떻게 계산되는지 확인 필수
- 금융재산 한도 주의: 3,400만 원을 초과하면 즉시 탈락
- 청년 1인가구라도 신청 가능: 단독 세대라도 거주 요건과 소득 기준 충족 시 가능
- 부양의무자 폐지는 사실상 제한적: 고소득 부모가 있으면 어려움이 따름
타 지역 유사 제도와의 차별성
구분국민기초생활보장서울형 기초보장전북형 기초생활보장부양의무자 기준 존재 부분 완화 사실상 폐지 재산 기준 까다로움 완화 중간 수준 급여 형태 생계, 주거 등 복합 주로 생계 중심 생계급여 + 해산/장제급여 포함 신청 문턱 높음 중간 비교적 낮음 전북형 복지는 기초생활보장의 틈새를 메우는 보완형 복지로, 제도 탈락자의 안전망 역할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복지 사각지대 해소의 시작, 우리가 알아야 할 점
오늘날 많은 복지 수요자는 단순히 제도를 몰라서, 혹은 조건이 까다로워서 필요한 지원을 받지 못합니다.
전북형 기초생활보장사업은 바로 그 사각지대를 찾아 복지의 사다리를 놓는 제도입니다.당신이, 혹은 당신 주변의 누군가가 도움을 필요로 한다면,
지금 바로 읍면동 주민센터를 통해 상담을 받아보세요.전라북도는 복지의 ‘마지막 울타리’가 되기 위해 이 제도를 만들었습니다.
그 울타리를 누구도 빠지지 않고 함께 나눌 수 있도록 우리 모두의 관심이 필요합니다.'유익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국인근로자 의료지원 제도 완전 해부|대상부터 신청 방법까지 (0) 2025.04.20 2025 장애수당 완벽 정리! 신청 자격부터 금액까지 (0) 2025.04.17 방과후학교 자유수강권 지원제도 완전 정리 (0) 2025.04.16 초등학교 입학축하금 지원제도 완벽 정리 (0) 2025.04.14 연수구 산후조리비 지원사업 완벽 안내 (2025년) (0) 2025.0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