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1. 근로장려금, 기존엔 어땠나?
근로장려금은 일은 하지만 소득이 낮은 가구에
정부가 현금으로 지원하는 대표적인 근로지원제도입니다.기존 지급 기준
- 단독가구: 최대 165만 원
- 맞벌이 가구: 최대 300만 원
- 재산 2억 원 이하, 소득 기준 초과 시 탈락
하지만 기준이 너무 엄격해
✔️ 실제 필요한 사람도 수급 탈락
✔️ 청년층의 소외
✔️ 소득조정 불가피 등의 문제 발생2. 2025 근로장려금, 이렇게 바뀐다!
📅 적용 시기: 2025년 1월 소득 기준
📌 변경 핵심 내용
✅ 맞벌이 가구 최대 450만 원
✅ 단독 청년 가구 최대 250만 원
✅ 소득 상한선 상향
✅ 재산 기준 2억 → 2.5억으로 완화
✅ 상·하반기 2회 분할 지급 확대3. 청년 특례 신설될까?
현재 기획재정부에서 검토 중인
청년 단독 가구 특례안도 주목받고 있습니다.내용 예상안
- 만 19세~34세 청년 단독가구
- 일정 소득 이하 조건 충족 시
- 기존 장려금보다 높은 상한 지급
이는 자산 형성 초기 단계의 청년층 지원 확대를 목표로 합니다.
4. 신청 조건 요약
✅ 국내 거주 6개월 이상
✅ 근로·사업소득 또는 종교인 소득
✅ 재산 기준 완화 (2.5억 원 이하)
✅ 근로소득자는 자동 신청 가능성 높음 (국세청 연계)5. 신청방법
📅 신청기간: 매년 5월
🌐 신청처: 홈택스, 손택스, 복지로
📞 문의: 국세청 장려금 전담콜센터6. 지급방식도 개선된다
기존: 5월 신청 → 9월 지급
2025년부터:- 6월 1차 지급 (예상소득 반영)
- 10월 2차 정산 지급 (실제소득 기준)
- 수급자의 자금 유동성 개선 효과 기대
🧠 마무리 요약
근로장려금이 더 많은 사람에게, 더 큰 금액으로 돌아옵니다.
특히 소득 애매하게 높아서 탈락했던 분들,
청년 단독 가구였던 분들에겐 기회!📌 지금 소득조건 체크해두면
2025년 1월 적용 시 1차 수급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혜택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플페이 티머니 사용법] 이제 교통카드도 아이폰으로! NFC 설정부터 실사용 꿀팁까지 (0) 2025.07.23 “몰라서 못 받는 민생회복 소비지원금, 1인당 최대 55만 원 혜택 총정리!” (0) 2025.07.22 "금리 오르기 전에 꼭 알아야 할 '서민형 안심전환대출' 2025 총정리" (0) 2025.07.21 "고액 병원비, 이제는 걱정 NO! 재난적의료비 지원제도 완전정복" (0) 2025.07.20 500만원 지원받고 키오스크 설치하자! 2025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지원 완벽정리 (0) 2025.07.19